'03 유틸리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음성채팅을 하는 목적으로

디스코드를 사용하고자 하는데


디스코드 마이크가 안되서

곤란하신 분이 많습니다



마이크가 고장난 경우만 아니면

해결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은데


원인이 여러가지가 있고

원인별 해결방법이 전부 다릅니다


종종 2개 이상의 원인이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의 원인별 해결법을

기초부터 복잡한 부분까지

순서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너무 쉬운 부분도 있고

이미 아는 부분도 있으시겠지만


순서대로 전부 진행하시면

문제는 해결 되실겁니다


끝까지 했는데 해결 안되면

마이크 고장난거 말고는 원인이 없어요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 연결 문제>


디스코드를 비롯한

모든 프로그램에서 마이크가 안된다면


마이크가 컴퓨터와

아예 연결이 안된 경우 입니다


보통 선을 잘못 연결하거나

연결은 제대로 했으나 활성화를 안한 경우인데



마이크는 앞머리가 빨간 선을 사용하며

컴퓨터에 있는 빨간 구멍에 꽂으시면 됩니다


usb 마이크의 경우

그냥 usb에 연결하시면 되는데


usb 포트(구멍)이 고장난 경우도 있으니

스마트폰을 연결해서 usb 포트가 멀쩡한지

확인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 구멍의 경우

본체의 앞과 본체의 뒤

양쪽에 구멍이 있는데


컴퓨터의 설정에 따라서

앞부분 구멍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소 귀찮더라도

뒷구멍에 꽂아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 비활성화>


연결이 제대로 되어 있는데도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비활성화 된 상황입니다



작업표시줄 제일 오른쪽을 보시면

오늘의 날짜와 시간이 나와있고

그 왼쪽에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스피커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녹음 장치를 눌러주세요



녹음 장치에 마이크가 있는데

사용 안 함 으로 되어 있는 경우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을 눌러서

마이크를 활성화 해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 마이크가 없음>


컴퓨터와 마이크는 연결했고

녹음 장치 창을 열었는데

마이크가 아예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은 장치를

표시하지 않게 설정해둔 경우인데



빈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를 체크하면

사용하지 않는 마이크가 표시됩니다


마이크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컴퓨터와 마이크가 연결 안된 경우 입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 마이크 2개>


위의 움짤을 보면 아시겠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마이크가 2개 있습니다



위쪽의 HD Pro Webcam C920 마이크는

웹캠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이고


아래쪽 High Definition Audio 장치는

키보드 옆에 있는 마이크 입니다


웹캠 마이크의 경우

모니터에 달려있기 때문에

입에서 거리가 멀어서


웹캠 마이크를 사용하면

소리가 너무 작게 녹음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웹캠 마이크는 사용 안 함 으로 설정하고

다른 마이크를 사용으로 활성화 했습니다


마이크가 2개 이상 표시 될 때는

내가 입을 대고 말하는 마이크가 뭔지

확인을 하고 활성화 해주세요


그런데 마이크 이름을 보고

어떤 마이크 인지 구분이 좀 어렵죠



이 경우 마이크의 설정을 조정해서

마이크로 들어간 소리가

스피커로 나오게 하면 됩니다


활성화 된 마이크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속성을 눌러서 속성창을 열어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안됨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마이크로 들어간 소리가

스피커로 나오게 하는 설정과


마이크의 볼륨을 높이거나 증폭하는 방법

그리고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마이크가 되는데


디스코드에서만 안되는 경우의 해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스코드 스테레오 믹스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디스코드를 사용하다보면

마이크와 스트레오믹스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을 보면 녹음장치에서

스테레오 믹스를 사용하면 된다는데


내 컴퓨터에서는

녹음 장치를 아무리 찾아봐도

스테레오 믹스가 없는 경우가 있죠


왜 내 컴퓨터에는

스테레오 믹스가 없는지


없는 스테레오 믹스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스코드 스테레오 믹스 - 기본>

 

우선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믹스가 설치되어 있을 때

활성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작업표시줄 제일 오른쪽을 보시면

오늘의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어 있고

그 왼쪽에 스피커 아이콘이 있습니다



스피커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위쪽으로 추가메뉴가 표시되는데


추가메뉴 중에서

녹음 장치를 눌러주세요



녹음 장치 리스트가 표시되면

빈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를 체크하면

스테레오 믹스가 표시됩니다




스테레오 믹스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을 클릭하시면 활성화가 됩니다


이게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퍼져있는 내용이고

이렇게 하면 된다고 하는데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를 체크해도

스테레오 믹스가 표시 안되는 분의 경우

사운드카드 설치가 잘못 된 경우 입니다

 

 

<디스코드 스테레오 믹스 - 사운드카드>


컴퓨터는 여러개의 부품을

합쳐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부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유의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소리를 제어하는 부품은 사운드카드 이고

사운드카드의 드라이버가 있어야

스테레오 믹스를 쓸 수 있습니다


사운드카드 드라이버가 이름이 너무 길어서

그냥 사운드카드 라고 부릅니다


사운드카드 설치의 경우

보통 3dp chip를 사용하시는데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스테레오 믹스 기능이 없는

그래픽카드 쪽 사운드카드만 설치하고


스테레오 믹스 기능이 있는

사운드카드는 설치를 안한다는 것이죠


<스테레오 믹스 기능이 있는 사운드카드 설치>



http://www.3dp.co.kr/

(3dp chip 카페 링크)


우선 3dp chip 프로그램이 있어야겠죠

위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카페로 접속하시고


제일 위쪽에 있는

C 3DP Chip를 클릭해주세요


카페에 가입하지 않아도

네이버에 로그인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운로드 페이지가 열리면

파란색으로 링크표시가 되어 있는


최신 버전 다운로드는 이곳을 클릭하세요 를

눌러주시면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설치 파일을 실행하셔서

3dp chip를 설치해주세요


http://sint2.tistory.com/348

(스테레오 믹스용 사운드카드 설치 포스팅 링크)


3dp chip 의 드라이버 리스트에서

스테레오 믹스 기능이 있는 사운드카드 설치는


예전에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었죠


위의 포스팅을 보고 따라하시면

스테레오 믹스를 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에 대한

세번째 포스팅 입니다


모든 문제에 대응하는

전체 총정리를 하다보니

글이 엄청나게 길어지네요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1부 포스팅에서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마이크가 안되거나

소리가 작은 경우의 해결방법과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가 안되거나

소리가 작은 경우의 해결법을 알아봤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증폭으로 소리를 키웠는데

잡음도 함께 커진다거나


혹은 PC방에서 주변 잡음 소리가

게임에 방해를 주는 경우


또는 아직도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가 안되는 경우의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잡음 제거>


디스코드에서는

입력감도를 조절해서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증폭시 발생한 잡음이나

PC방의 소음을 없앨 수 있고


반대로 잘못 활용하면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가 안됩니다



1부 포스팅의

음성 설정 메뉴 아래를 보시면


입력 감도 메뉴가 있습니다

오른쪽의 on off 버튼을 눌러서 켜주세요



입력 감도 기능이 켜졌다면

이제 마이크에 대고 이야기를 해보세요


입력감도 조절 창에 있는 게이지가

말소리에 반응해서 채워지게 됩니다


소리가 크면 많이 채워지고

소리가 작으면 적게 채워지죠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입력감도 조절>


입력 감도 조정 중간에 있는

흰색 막대 바를 움직 일 수 있는데


흰색의 왼쪽의 소리는 잡음으로 인식되어

디스코드로 전송이 되지 않고


흰색의 오른쪽 으로 올라온 소리만

디스코드로 전송되는 형태 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아무말도 하지 않고 있는데

컴퓨터의 잡음, 주변의 소음으로 인해서

빨간 테두리 까지 게이지가 차오르고


내가 말을 하면

파란색 테두리 까지 게이지가 차오르면


흰색 막대를 2개의 게이지 사이에 두면

컴퓨터 잡음, 주변의 소음은 전송되지 않고

내 목소리만 전송이 됩니다


내 목소리 게이지보다

흰색 막대를 더 오른쪽으로 보내면

내 목소리 조차도 전송이 안됩니다


보통 시끄러운 PC방에서는

목소리가 덩달아서 커지기 때문에

흰색 막대를 오른쪽으로 많이 보내놨다가


집에서 조용히 게임을 하면

목소리가 흰 막대를 넘지 못해서

디스코드만 마이크가 안되는 형태가 됩니다


적절한 위치로 조정하셔서

잡음을 없애고 음성이 들리게 해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눌러서 말하기>


여기까지 했는데도 안된다면

눌러서 말하기 입니다



입력감도 위의 녹음방식을 보시면

음성감지와 눌러서 말하기 2개가 있는데


음성 감지의 경우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가 있으면

알아서 디스코드로 전송되는 방식이고


눌러서 말하기의 경우

지정한 버튼을 눌렀을 때만

마이크로 들어간 소리가 전송이 되고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리가 전송되지 않는 설정입니다


그런데 녹음 방식의 경우

기본 설정이 음성감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가 일부러 눌러서 말하기로 바꾸지 않았다면

이렇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없습니다


내가 일부러 바꿨다면

그거 때문에 마이크가 안된다고 하진 않겠죠


그래서 거의 가능성이 없긴 한데

내가 설정해놓고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으니

마지막 해결방법으로 올려보겠습니다


여기까지 해도 안된다면

마이크나 컴퓨터가 고장난거 이외에는

원인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마이크가 아예 안될 때

원인과 해결 방법과


마이크가 되는데

소리가 너무 작은 경우

예상되는 원인 몇가지를 알아봤었죠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소리가 작은 경우의 나머지와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되는데


디스코드에서만 안되는 경우의

원인과 해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의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마이크 속성 창이 열리는데


수신 대기 탭을 클릭해주시고

이 장치로 듣기를 체크해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이 장치로 듣기>


이 장치로 듣기는

마이크로 들어간 소리를

스피커로 나오게 하는 기능으로


내 마이크 소리가 큰지 작은지

내가 직접 들어보는 기능입니다


설정을 바꿀 때 마다

소리가 충분히 커졌는지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지 않아도 됩니다


소리의 조절이 끝나면

체크를 풀어주시면 소리가 안들리게 됩니다



수준 탭을 눌러주시면

마이크 볼륨, 증폭 기능이 있습니다


마이크 볼륨을 최대로 높여주시고

마이크 증폭을 원하는 만큼 해주세요


마이크를 증폭 하면

잡음도 함께 증폭되기 때문에

너무 많이 높이면 좋지 않습니다만


디스코드의 경우

잡음제거 기능이 있어서

어느정도의 잡음은 제거가 가능합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마이크 증폭이 없어요>


종종 마이크 증폭 메뉴가

아예 없는 경우가 있는데


마이크 증폭은 사운드카드의 기능으로

사운드카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입니다


사운드카드는 3dp chip 프로그램으로

설치를 할 수 있는데


3dp chip로 사운드카드를 설치를 할 때

스테레오 믹스가 지원되는 사운드카드를

설치해야 하는데


다른 사운드카드를 설치해서

설치를 하고도 스테레오 믹스가 없다거나

증폭기능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http://sint2.tistory.com/376

(사운드카드 설치 관련 포스팅 링크)


예전에 3dp chip 에서

스테레오 믹스, 증폭 기능이 있는

사운드카드 설치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올바른 사운드카드를 설치하시면

증폭 메뉴가 나타나게 됩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디스코드만 안되요>


지금까지의 설정들은

디스코드를 포함한 모든 프로그램의

마이크에 영향을 주는 설정이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잘 되는데


이상하게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가 안되거나 소리가 작은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디스코드 내부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디스코드를 실행하시고

왼쪽 아래에 있는 내 계정 오른쪽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서

디스코드 설정창을 열어주세요



설정창 왼쪽을 보시면

설정 대상 리스트가 있는데

음성 메뉴를 눌러주세요



이제 오른쪽의 큰 창을 보시면

음성 설정 메뉴가 있을텐데


주목해야 하는 부분이

녹음 장치와 입력 음량 입니다


녹음 장치는 1부 포스팅에서 말한

사용할 마이크를 선택하는 메뉴이며

입력 음량은 마이크의 볼륨에 해당합니다


1부 포스팅의

마이크 2개 현상처럼


잘못된 마이크가 설정 된 경우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가 되지 않으며


입력 음량이 낮은 경우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 볼륨이 작습니다


입력 음량을 최대로 올리고

녹음 장치의 마이크를 올바르게 맞춰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3부

(관련 포스팅 링크)


3부 포스팅에서는

여전히 디스코드에서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거나


볼륨을 높이기 위해서 증폭을 했는데

잡음이 너무 커진 경우의 해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게임 내부의 의사소통 수단이

키보드를 이용한 글자 채팅에서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채팅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음성 채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데


최근 가장 인기를 끄는 프로그램이

디스코드 라는 프로그램 입니다



디스코드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마이크가 아예 작동하지 않거나

혹은 작동하는 소리가 너무 작거나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마이크가 다 정상적으로 되는데

디스코드에서만 작동하지 않는다거나


이런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마이크 인식>


가장 기본적인 부분 부터

순서대로 가겠습니다


마이크가 아예 작동하지 않는다면

마이크가 잘못 연결되었거나


연결은 제대로 되었는데

마이크 인식이 되지 않은 경우 입니다



외부의 소리가 마이크를 통해서

컴퓨터로 들어가는 "입력"은 빨간 선


내부의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나오는 "출력"은 녹색 선을 사용합니다


마이크의 빨간선이

컴퓨터의 빨간 구멍에 꽂아주세요


마이크의 구멍은

컴퓨터의 앞부분, 뒷부분

2곳에 나눠져서 있는데


앞부분의 구멍의 경우

컴퓨터 설정에 따라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뒷면의 구멍에

연결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녹음 장치>


연결이 제대로 되어 있다면

이제 윈도우에서 마이크를 사용하도록

설정이 되어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작업표시줄 제일 오른쪽을 보시면

오늘의 시간, 날씨가 있으며


그 왼쪽에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스피커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녹음 장치를 눌러주세요



녹음 장치에 마이크가 있는데

사용 안 함 으로 되어 있는 경우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을 눌러서 활성화 해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마이크가 없어요>


마이크가 아예 없는 경우

마이크가 사용 안 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인데


빈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를 누르시면

숨겨진 마이크가 표시됩니다


아래의 움짤을 보시면

처음에는 마이크 1개만 있는데


장치 표시를 클릭하자

숨겨져 있던 장치가 표시됩니다



사용 안 함으로 된 마이크가 있다면

사용으로 활성화 해주시면 됩니다


마이크를 찾을 수 없다면

컴퓨터와 마이크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잘못된 구멍에 선을 연결했거나

마이크나 컴퓨터가 고장난 경우 입니다

(이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 소리가 작아요>


그럼 이번에는 마이크는 연결되어 있는데

소리가 너무 작은 경우 입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마이크가 2개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HD Pro Webcam C920은

웹캠의 내장마이크 이고


High Definition Audio 장치는

마이크 입니다


마이크의 경우 입 바로 앞에 있어서

작게 말해도 크게 소리가 들어가는데


웹캠의 경우 모니터에 달려 있어서

입에서 거리가 멀고 소리가 작게 들어가죠


그래서 웹캠 마이크는 사용하지 않고

일반 마이크만 사용하도록 설정했습니다


이렇게 마이크 2개가 표시된다면

내가 원하는 마이크가 아니라 다른 마이크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주세요



올바른 마이크가 설정되어 있지만

소리가 작은 경우에는


마이크 속성창에서

소리를 높일 수 있습니다 


마이크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속성을 눌러서 속성창을 열어주세요


디스코드 마이크소리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마이크 속성에서 마이크 소리 키우기와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마이크가 되는데

디스코드에서만 마이크가 안되는 경우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무료 작곡 프로그램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의 소개와


무료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아봤었는데요


무료 작곡 프로그램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다운로드의 나머지 과정과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알려드린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운영체제 선택 아래쪽에

버전을 선택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왼쪽은 윈도우 32비트 버전이며

오른쪽은 윈도우 64비트 버전입니다

<무료 작곡 프로그램 - 윈도우 버전 확인>


내 컴퓨터의 윈도우 버전은

윈도우 탐색기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해주시고

왼쪽에 폴더 리스트 창을 봐주세요



폴더 리스트에서 내 PC(내 컴퓨터)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속성을 눌러주세요



컴퓨터 속성창에는

컴퓨터 정보가 표시되는데


시스템 항목에 있는

시스템 종류를 보시면

몇비트 운영체제 인지 적혀 있습니다


제 컴퓨터의 경우

64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네요

비트에 맞춰서 설치파일을 받아주세요

 

 

<무료 작곡 프로그램 - 사용법>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하셨으면

실행하셔서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세요


설치 과정은 next 만 클릭하면

설치가 되는 단순한 구조라서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프로그램의 사용법은

글로 설명하면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유트브에 올라온

설명 영상으로 대체하겠습니다





총 3개 편으로 되어 있으며
1편 10분, 2편 15분, 3편 8분 입니다

30분 정도의 시간을 들여서
3편을 모두 보셔서 기본을 익히시고

사용해서 작곡을 하시다가
추가로 궁금한게 생기면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무료 작곡 프로그램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드는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갑니다


이런 시간과 노력의 보상을

프로그램을 판매해서 얻어야 하는데


프로그램의 구매 대상이 작은 경우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작곡 역시 전문 지식이 있는

소수가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래서 이제 막 작곡을 시작하거나

혹은 취미로 하려는 사람에게는

가격이 너무 부담스럽죠


그래서 바로 구입하기 보다는

무료 작곡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료 작곡 프로그램의 소개와

다운로드,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무료 작곡 프로그램 소개>


무료 작곡 프로그램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이 포스팅에서는

LMMS 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무료 프로그램과 유료 프로그램을 비교하면

당연히 유료 프로그램이 더 좋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익숙해지거나

더 많은 기능을 원하게 되면

유료 프로그램으로 넘어가야 하는데요


기존에 사용하던 무료 프로그램과

유료 프로그램의 사용법이 다른 경우

사용법을 또 배워야 합니다



그런데 LMMS의 경우

유료 프로그램인 FL 스튜디오와

사용법이 상당히 비슷하기 때문에


무료 작곡 프로그램으로 LMMS를 사용하다가

FL 스튜디오로 넘어가는 경우

그런 문제가 없으며


포스팅 작성 시기 기준으로

무료 작곡 프로그램 중에서

LMMS가 가장 성능이 좋습니다


포스팅 작성 후 시간이 흐르고

더 좋은 프로그램이 나올 가능성은 있습니다

 

 

<무료작곡 프로그램 - LMMS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는

홈페이지인 lmms.io 에서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lmms를 검색해서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세요



https://lmms.io/

(lmms.io 링크)


홈페이지 왼쪽 위를 보시면

Download now (지금 다운로드) 가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시면

lmms 다운로드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lmms는 리눅스, 윈도우, 맥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구동이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제일 위에서

어떤 운영체제에서 구동할지

선택하는 화면이 있는데


한국의 경우

90% 이상 윈도우를 사용합니다


일부러 윈도우가 아닌

리눅스를 설치를 하셨거나


apple 의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운영체제를 선택해주세요


잘 모르겠다면

윈도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 포스팅은 초심자 중심이기에

윈도우 기준으로 설명을 이어가겠습니다


다운로드 과정만 다를 뿐

다운로드 후 사용법은 똑같습니다


무료 작곡 프로그램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나머지와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2018 무료설치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한글은 hwp 확장자를 사용하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으로


국내 컴퓨터 보급 초기에

문서 편집 프로그램으로

적극 보급이 되었습니다



그 영향으로

지금도 대부분의 문서 양식은

hwp 확장자로 지원이 되고 있죠


그래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이 필요하면

한글을 떠올리게 되는데요


한글 2018 무료설치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2018 무료설치 - 저작권>


한글 프로그램의 경우

한글과 컴퓨터라는 회사에서

유료로 판매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당연히 저작권이 존재하며

불법 다운로드를 하는 경우

처벌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전에는 저작권 인식이 약해서

불법 공유를 하는 사람이 많아서

다운로드가 어렵지 않았지만


지금은 저작권 인식과 처벌이 강해져서

불법 공유를 하는 사람이 많이 줄었죠


저작권 위반 없이

무료설치, 이용 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일정기간 무료로 이용 할 수 있는

체험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두번째 방법으로는

한글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hwp 확장자와 호환이 되면서

기간제한이 없는 무료 대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한글 2018 무료설치 - 체험판>


체험판 다운로드의 경우

한글과 컴퓨터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받으 실 수 있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H&Friends 라는 사이트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hanfriends.com/

(H&Friends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체험판의 경우

다운로드 방법은 똑같은데

항상 버전이 최신버전으로 바뀝니다


즉 구버전 체험판 다운로드 방법을

그대로 따라하셔도, 최신버전이 받아집니다


http://sint2.tistory.com/102

(한컴 오피스 체험판 다운로드 포스팅 링크)


체험판 다운로드 과정에 대해서는

예전에 다른 포스팅에서 다뤘었쬬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체험판을 다운로드 하시고


체험판 기간이 종료되신 경우에는

포스팅 아래쪽에 있는


hwp 확장자 호환이 되면서

기간 제한 없는 무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한글 2018 체험판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한글은 hwp 확장자를 사용하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 입니다


국내에 컴퓨터가 처음 보급 될 때

같이 보급이 되었기 때문에



국내 문서 편집에 있어서는

대명사 같은 프로그램이 되었고


다른 문서 편집 프로그램이

굉장히 많이 생겨난 지금도


문서의 양식의 경우

hwp로 된 파일이 많습니다


한글 2018 체험판 다운로드와

체험 기간 종료 후 대처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2018 체험판 - 오피스와 체험판>


지금은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가정집에서도 많이 이용하지만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제작 초기에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그래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통칭 오피스 프로그램 이라고 합니다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한글 이외에도 한셀, 한쇼 등의

오피스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며


한글, 한셀, 한쇼 3가지를 묶어서

한글과 컴퓨터의 오피스 프로그램

줄여서 한컴 오피스 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한컴 오피스는

3개가 묶어서 판매가 되고 있으며

개별적으로는 판매가 되지 않습니다


즉 내가 한글만 필요하더라도

한셀, 한쇼도 묶음으로 제공됩니다


체험판은 마트의 시식코너 처럼

무료 체험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방법 으로


체험판 역시 한컴 오피스 처럼

3개의 프로그램이 모두 제공됩니다


즉 한글 2018 체험판은

한컴오피스 2018 체험판과

다운로드 방법이 같다고 할 수 있죠

 

 

<한글 2018 체험판 다운로드>


체험판의 다운로드는

한글과 컴퓨터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H&Friends 라는 사이트에서

받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hanfriends.com/

(h&Friends 홈페이지 링크)


체험판의 다운로드는

한글과 컴퓨터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하실 수 있는데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 하시면 됩니다


체험판 다운로드 방법은

예전에 NEO 버전 체험판 다운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을 했었는데요


체험판의 경우

언제나 최신버전만 되기 때문에


NEO 체험판 다운로드 방법을

그대로 따라서 진행하더라도


최신 버전인 한컴 오피스 2018 체험판이

다운로드 됩니다


만약 2018 다음 버전이 나온 경우

그 버전의 체험판이 다운로드 됩니다


http://sint2.tistory.com/102

(한컴 오피스 체험판 다운로드 포스팅 링크)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체험판 다운로드를 하시면 되며


체험 기간 종료 후

한글을 계속 사용해야 하는 경우


해당 포스팅 아래쪽에 있는

무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dp net 사용법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3dp 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3dp net 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아봤었죠


3dp net 사용법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실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에서 다운로드 받은

3dp net 파일을 컴퓨터로 옮기고

실행을 하게 되면



설치할 폴더를 지정하는 창이 뜨고

ok를 누르면 설치가 진행되며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3dp net가 실행됩니다

<3dp net 사용법 - 인터넷 연결>

3dp net 가 실행되면

자동으로 컴퓨터의 랜카드를 인식하고


인식이 완료되면

아래쪽에 랜카드를 표시하여

드라이버 설치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 처럼

느낌표가 떠 있는 경우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것으로


느낌표 부근을 클릭해주시면

장치 드라이버 설치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장치 드라이버 설치 마법사에서는

그냥 다음을 눌러주시기만 하면

드라이버의 설치가 시작되며


드라이버의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가 랜카드를 사용하면서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됩니다


<3dp net 사용법 - chip 와 net>


컴퓨터가 인터넷이 가능해지면

이제 남은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위해서

3dp chip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통 이 부분에서

3dp net 와 3dp chip의

차이점을 많이 물어보는데


3dp net는 컴퓨터의 부품 중에서

랜카드의 드라이버 설치만

지원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랜카드란 인터넷 연결을

담당하는 컴퓨터의 부품으로



컴퓨터 뒷면에 있는 랜선 구멍이

랜카드의 뒷면 입니다


3dp chip 는 컴퓨터의 부품을 인식해서

해당 부품의 드라이버를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로드 해주는 프로그램인데


랜카드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으면

인터넷을 이용 할 수 없고

따라서 3dp chip를 쓰지 못하죠


그래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랜카드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했고

그 프로그램이 3dp net 입니다

 

 

<3dp net 사용법 - 전체 요약과 3dp chip>


드라이버 설치의 전체 과정을

요약해서 정리를 해보자면


1. 컴퓨터 포맷 후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으로 3dp net를 다운로드


2. 스마트폰의 3dp net를 컴퓨터로 옮긴 후

실행하여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


3. 랜카드 드라이버 설치 후

컴퓨터는 인터넷이 가능


4. 컴퓨터에서 3dp chip를 이용해서

나머지 드라이버를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3dp net 사용법 - 3dp chip>



3dp chip의 다운로드는

1부 포스팅에서 링크를 걸어드린

3dp 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3dp net 왼쪽에 있는

C 3DP Chip 를 클릭하시고



최신 버전 다운로드는

이곳을 클릭하세요 링크를 누르시면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되면

실행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시고



설치 완료된 3dp chip 를 실행해보시면

cpu,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등


각 컴퓨터의 부품명이 표시되고

오른쪽에 느낌표 와 v가 있습니다


v는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느낌표는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되어 있으나 최신버전이 아니라는 의미로


부품명을 클릭하시면

최신버전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