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컴퓨터' 카테고리의 글 목록

스트레오믹스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한가지 소리를 내보내는 것을 모노

2가지 다른 소리를 내보내는 것을

스트레오 라고 합니다


스트레오믹스 는

2개의 다른 소리를 섞어서(믹스)

하나로 송출하는 기술을 말하는데


컴퓨터 안에서 발생하는 내부의 소리와

마이크로 들어가는 외부의 소리를 합쳐서

송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아프리카TV, 유튜브, 트위치 등

방송을 한다거나


혹은 음성채팅이 지원되는 게임에서

내 컴퓨터의 음악소리 등을 보내려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트레오믹스를 쓰고 싶은데

어디서 활성화 해야 하는지 모르거나


혹은 내 컴퓨터에는

스트레오믹스가 없는경우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트레오믹스 - 활성화 하기>


우선 가장 기본적으로

스트레오믹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활성화를 하지 않은 경우

활성화 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작업표시줄 제일 오른쪽을 보시면

오늘의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어있고

그 옆에 스피커 아이콘이 있습니다



스피커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녹음 장치를 클릭해주시면


현재 컴퓨터에 소리를 넣어주는

마이크, 스테레오믹스 등의 장치가 표시됩니다



녹음 장치에 스트레오믹스가 있는데

사용 안 함 으로 되어 있는 경우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을 클릭하셔서 활성화 하시면 됩니다



스트레오믹스가 없는 경우에는

위의 움짤 처럼 빈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를 클릭하면

숨겨진 스트레오믹스가 나타납니다


만약 이렇게 해도 나타나지 않으면

스트레오믹스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로

설치를 해주셔야 합니다

 

 

<스트레오믹스 - 설치하기>


스트레오믹스는 사운드카드의 기능으로

사운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이미 이런 내용을 보시고

시키는대로 사운드카드를 설치했는데


그래도 스트레오믹스가 없더라

하는 경우가 있죠


이 경우 컴퓨터에 사운드카드가 2개 인데

스트레오믹스 기능이 없는 드라이버를

설치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보통 그래픽카드의 사운드카드와

메인보드의 사운드카드가 있는데


이 2가지 중에서는

메인보드의 사운드카드를 설치해야

스트레오 믹스가 생겨나게 됩니다


이 차이를 설명하지 않고

그냥 사운드카드 받으면 된다

이렇게 설명을 끝내면 혼란이 생기죠


컴퓨터마다 사용하는 부품이 다르고

사운드카드 역시 다르기 때문에


제가 모든 사운드카드 드라이버의

다운로드 방법은 설명할 수 없겠죠


그래서 3dp chip 라는 프로그램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내 컴퓨터의 부품을 자동으로 인식해서

드라이버 다운로드를 도와주는

무료 프로그램 입니다



http://www.3dp.co.kr/

(3dp chip 카페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3dp chip 카페에 접속하시고


왼쪽 위에 있는 C 3DP Chip 를 클릭하셔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주세요



다운로드 페이지 왼쪽 위에 있는

최신 버전 다운로드는 이곳을 클릭하세요 를 누르면

설치파일의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설치파일을 실행하셔서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세요


http://sint2.tistory.com/348

(3dp chip 사운드카드 선택 설치 포스팅 링크)


3dp chip 프로그램에서

2개의 사운드카드를 구별하고

선택해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전에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을 했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한컴pdf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pdf 는 아크로벳 이라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파일 확장자 입니다


국내의 문서 편집 프로그램 시장은

hwp의 한글과 doc, docx의 워드가

양분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pdf 확장자의 장점이 알려지면서

문서 편집은 다른 프로그램으로 해도

파일은 pdf로 저장하고 싶어했고


그래서 pdf 파일을 열지는 못하지만

작업한 파일을 pdf로 저장이 가능한

추가 기능이 생기게 됩니다


한컴pdf는 hwp 한글의 결과물을

pdf 확장자로 저장하도록 도와주는

가상 프린터 입니다


한컴pdf 에 대한 기본 설명과

문제가 있는 경우의 해결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한컴pdf 기본 설명>


한컴pdf는 한글 2010 버전부터

추가된 기능으로


한글 2010 이상의 버전을

기본 설정으로 설치하면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


한컴pdf를 자주 사용한다면

한글 2010 이상 버전을 구매해서

사용하시면 되는데


자주사용하지 않는 경우

구매가 조금 꺼려지는 경우가 있죠



일부 블로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한컴pdf 의 인식 파일만 추출해서

올려놓는 경우도 있긴 한데


많은 바이러스, 해킹툴 같은 악성코드가

블로그나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서

유포되는 경우가 많고


한컴pdf 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무료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에


블로그나 커뮤니티 사이트의

한컴pdf 파일 다운로드하는 것은

그다지 권장하지 않습니다

 

 

<한컴pdf - 대체 프로그램>


한컴pdf로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5가지 정도로 구분됩니다


pdf 파일을 새로 만드는 작성

만들어진 pdf 파일을 열어보는 열람


만들어진 pdf 파일을 수정하는 편집

만들어진 pdf 파일을 출력하는 인쇄


마지막으로 hwp 파일을 pdf로 바꾸는

확장자 변환이 있겠죠



유니닥스 라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ezpdf Editor 이라는 프로그램은


이 5가지 기능을 모두 제공하며

개인 사용자는 무료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http://www.unidocs.co.kr/main.do

(유니닥스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유니닥스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http://sint2.tistory.com/229

(ezpdf editor 관련 포스팅 링크)


ezpdf editor 의 다운로드와 사용법은

예전에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오버워치 마이크가 안될 때는

원인이 3가지 중 하나인데


1부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이야기를 해봤었죠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두번째 세번째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방법으로

녹음장치 메뉴를 열어주시고



활성화 된 마이크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신 후

속성 메뉴를 눌러주세요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 속성창>


마이크 속성 창에서는

마이크의 설정을 조절 할 수 있는데


위쪽의 4개의 탭 메뉴 중에서

수신 대기 메뉴로 들어갑니다

 


수신 대기 메뉴를 보시면

이 장치로 듣기 가 있는데


해당 기능을 체크하시면

마이크로 들어간 소리가

스피커로 바로 나옵니다


이 장치로 듣기를 체크하 상태로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해보세요


소리가 들린다면

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며


소리가 들리지 않는 다면

1부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었던


마이크의 연결이 잘못 되었거나

잘못된 마이크를 활성화 한 경우입니다


다른 마이크를 활성화 하시거나

연결 상태를 확인해주세요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 볼륨>


수신 대기 탭 옆에 있는

수준 탭으로 들어가보시면


마이크의 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과 증폭 메뉴가 있습니다


혹시 마이크가 작동은 하는데

소리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조절해주세요



마이크 볼륨은 100 정도로 설정하시고

마이크 증폭은 기본적으로는 0

소리가 작다면 10 정도가 적당합니다


20이 넘어가면

컴퓨터 내부의 잡음이 들어가기 때문에


팀 보이스를 하는 팀원들에게

잡음이 들린다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 옵치 내부 설정>


마지막 세번째는 오버워치 내부의

마이크 관련 설정인데


사실 오버워치 내부의 설정은

마이크가 안될 때 가장 먼저 살펴보기 때문에

이게 문제인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버워치 환경 설정으로 들어가셔서

오디오 부분으로 들어가시면

각종 설정이 있는데


설정의 아래쪽을 보시면

음성 대화 말하기 방식 설정이 있습니다


기본 설정은 "열린 마이크" 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마이크가 상시 작동하는 상태이며


"키를 누른 채로 말하기"의 경우

마이크 키를 눌러야만 마이크가 작동합니다


종종 음성 대화 말하기 방식을

변경한 것을 잊으시는 경우가 있더군요


열린 마이크로 바꾸셔서

항상 마이크가 작동하게 하시거나


마이크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말하시면

마이크가 작동하게 됩니다


마이크 키는 게임 플레이 설정에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소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크게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마이크와 컴퓨터의

물리적 선 연결이며


두번째는 내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윈도우의 내부 설정이며


세번째는 오버워치 의

내부 마이크 설정 입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의 이유는

저 3가지 중 한가지 이상이

잘못 되어 있다는 것이겠죠


첫번째 부터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 연결선>

 

컴퓨터로 소리가 들어가는

사운드 입력 장치는 빨간색이며


컴퓨터에서 소리가 나오는

사운드 출력 장치는 초록색 입니다



즉 마이크를 별도로 구매하신 경우

컴퓨터에 있는 구멍중 붉은색 구멍에

마이크 선을 연결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더 중요한 것이

마이크 구멍의 위치입니다


마이크 선이 연결되는 구멍을

"잭" 이라고 부르는데


대부분의 컴퓨터는 이 잭이

앞과 뒤에 모두 있습니다


앞에 있는 잭을 전면판 잭

뒤에 있는 잭을 후면판 잭 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전면, 후면에 상관없이

마이크 선을 연결하면 작동하지만



몇몇 컴퓨터의 경우

전면판 잭 탐지 사용 중지 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전면판 잭에 마이크를 연결해도

컴퓨터에서 인식을 하지 못하며

당연히 마이크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내 컴퓨터가 전면판 잭 탐지 중지 설정인지

일일이 확인을 하는 것이 오히려 번거로우니


마이크 선을 컴퓨터 뒷면 잭인

후면판 잭에 연결해주세요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 윈도우 설정>

마이크의 연결이 제대로 되었으면

이제 윈도우의 설정을 살펴봐야겠죠


작업표시줄 제일 왼쪽을 보시면

오늘의 날짜와 시간이 나와있고

그 옆에 스피커 아이콘이 있습니다



스피커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녹음 장치 메뉴를 눌러주시면


현재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녹음 장치가 표시됩니다



녹음 장치 리스트에

마이크 그림이 있는 기기가

2개 이상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내가 연결한 마이크 이외에도

마이크 기능이 있는 기기가

연결된 상황입니다


예를들어 마이크가 내장된 캠을 연결하면

캠 마이크가 하나 더 표시되는 거죠


컴퓨터는 한번에 하나의 마이크로만

데이터를 받아들이는데



마이크 그림 오른쪽 아래에

녹색 원 안에 v 가 있는 마이크가

활성화 된 마이크 입니다



비활성화 된 마이크에 우클릭을 하면

추가 메뉴가 나오는데


거기서 사용을 클릭해주시면

활성화 하실 수 있습니다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마이크를

활성화 해주시면 됩니다


2개의 마이크 중에서

어떤게 내가 쓰려는 마이크 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지금 활성화 된 마이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설정을 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버워치 마이크 안됨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활성화 된 마이크 확인 방법과


오버워치 내부의

마이크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ml 파일열기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eml 운 아웃룩 익스프레스라는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파일 확장자 입니다


메일의 내용을 저장하면

eml 확장자 파일로 저장이 되죠


 

아웃룩 익스프레스가 아니라면

접할 일이 없는 확장자 인데


아웃룩 익스프레스가 유료 프로그램이라

사용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eml 파일을 처음 보면

어떻게 열어야 하는지 난감한데요


eml 파일열기 하는 방법을

2가지 정도 알아보겠습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니 읽어보시고

자신에게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eml 파일열기 방법 2가지>


첫번재는 eml 파일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Windows Live 메일 이라는 프로그램에서

eml 파일을 지원 했었습니다


해당 메일 프로그램은

윈도우 필수 패키지 2012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이었는데



2017년 1월 10일 부로

서비스를 종료했기 때문에

지금은 이용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필수 패키지의 다른 버전을

찾아보려고 하시는 경우도 많은데


Windows Live 메일은

Microsoft Outlook 로 이름이 바뀌어서

Microsoft Office 에 포함되게 되었기 때문에


다른 버전의 필수 패키지를 설치해도

Windows Live 메일은 이용 할 수 없습니다


Microsoft Outlook(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은

아웃룩 익스프레스와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eml 파일열기 - Ms Office>


하나의 회사에서 만든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묶음을

오피스(Office) 라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오피스 프로그램을

줄여서 MS오피스 라고 부르는데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등이 있으며

Microsoft Outlook 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컴퓨터에 MS오피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아웃룩의 사용법만 아시면 eml 파일열기 를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설치를 하셔야 하는데


MS오피스의 경우 유료로 판매되긴 하지만

학생이나 교육자의 경우에는 기간제한 없이

무료로 이용 할 수 있으며


학생이나 교육자가 아니라도

일정기간 무료로 이용 할 수 있는

체험판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http://sint2.tistory.com/155

(MS오피스 무료 이용 관련 포스팅 링크)


MS오피스 무료 다운로드에 대해서는

예전에 무료 엑셀 관련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었죠


MS오피스 방법을 이용하시려면

위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MS오피스로 eml 파일열기 방법 설명 전에

MS오피스 설치가 거북하신 분을 위해

2번째 방법을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두번째 방법은 eml 파일열기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https://www.encryptomatic.com/

(encryptomatic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eml 파일열기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encryptomatic 사이트의 이용방법과


MS오피스를 이용해서 eml 파일을 열어보는

나머지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테레오 믹스 다운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사람은 2개의 눈으로 들어오는

시야의 차이로 거리감을 인식하죠


귀 역시 2개로 하나의 소리라도

양쪽의 귀에 다르게 들립니다



이런 부분에서 착안해서

양쪽 스피커에서 다른 소리가 나와서


소리를 더 풍성하게 하는 기술을

스테레오 라고 합니다


반대로 양쪽 스피커에서

같은 소리가 나오는 기술을

모노 라고 하죠


스테레오 믹스란

2개의 서로 다른 소리를 섞어서(믹스)

한번에 송출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1인 미디어 방송을 송출 할 때

컴퓨터에서 나오는 소리와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


이 2가지를 섞어서

한번에 보내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스테레오 믹스 다운 - 드라이버>


여러개의 장치가 합쳐져서

하나의 컴퓨터가 작동하는데


소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사운드카드 라고 합니다


스테레오 믹스는

사운드카드의 기능으로

녹음 장치에서 활성화 할 수 있죠



그런데 스테레오 믹스가

아예 표시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컴퓨터에서

사운드카드의 스테레오 믹스를

인식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우리가 처음 보는 기계를 사용하려면

설명서가 필요하듯이


컴퓨터도 장치를 사용하려면

드라이버 라는 설명서가 필요한데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테레오 믹스가 인식되지 않아서

장치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말하자면

사운드카드만 설치하시면

스테레오 믹스가 나타납니다

 

 

<스테레오 믹스 다운 - 3dp chip>


3dp chip 는 무료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의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장치의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그런데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 중에서

이미 3dp chip로 사운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스테레오 믹스가 나타나지 않는다며

곤란해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3dp chip 에서

사운드카드 드라이버의 설치 방법을

제대로 모르시는 경우입니다


3dp chip 프로그램을 추천해주는 블로그도

모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더군요


우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고

올바른 사운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www.3dp.co.kr/

(3dp chip 카페 링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는

3dp chip 카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하셔서 접속해주세요


카페에 가입을 하지 않아도

자유롭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메인화면의 위쪽에 있는

C 3DP Chip를 클릭해주세요



다운로드 페이지로 연결되면

왼쪽 위에 있는


최신 버전 다운로드는 이곳을 클릭하세요 라는

링크 를 클릭해주시면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설치 파일을 받으시고 실행하셔서

3dp chip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세요


http://sint2.tistory.com/348

(스트레오 믹스 사운드카드 포스팅 링크)


3dp chip 에 표시되는 장치 중에서

스테레오 믹스를 사용 할 수 있는

사운드카드 드라이버 설치방법은


예전에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었죠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mp3 cd굽기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mp3는 음원, 노래, 음악 등

오디오 파일에 자주 사용되는

확장자 입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발달한 지금은

인터넷으로 mp3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스마트폰에 mp3 파일을 넣어서

재생하는 형태로 이용하지만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기에는


cd라는 저장장치에 mp3 파일을 넣은

앨범, 음반의 형태로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습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cd의 사용량이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개인 취향의 mp3 파일을 모아서

cd굽기를 하고자 하는 분이 있는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서

mp3 cd굽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p3 cd굽기 = 레코딩 프로그램>

 

cd에 단순히 데이터를 넣는게 아니라

부팅 효과까지 하는 것을 속칭 cd굽기

정식 명칭으론 레코딩 이라고 합니다


레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cd 레코딩을 지원하는 라이터기와

레코딩 프로그램 2가지가 필요한데요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cd롬은

대부분 라이터기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컴퓨터에 cd롬이 달려 있다면

라이터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레코딩 프로그램의 경우

울트라iso나 cd burner xp 라는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윈도우 7 이상의 버전 부터는

레코딩 기능이 내장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윈도우 7 이상 버전의 경우

레코딩 프로그램이 필요 없습니다


윈도우 7 이하 버전의 경우

울트라iso 와 cdburner xp 중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셔야 하는데



울트라iso의 경우 용량 제한 문제가 있어서

mp3 cd굽기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cd burner xp를 추천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cdburnerxp.se/

(cd burner xp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http://sint2.tistory.com/284

(cd burner xp 포스팅 링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룬적이 있엇죠


cd  burner xp를 이용하는 경우

위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mp3 cd굽기 - 윈도우 레코딩 기능>


윈도우 7 이상의 사용자라면

윈도우 자체 레코딩을 하시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윈도우 10 버전이 나온 이후로

윈도우 7도 업데이트가 종료된 상황이라서


대부분의 경우 윈도우 7 이상 버전을

사용하고 계실겁니다


윈도우의 레코딩 기능은

윈도우 탐색기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해주시고

mp3 cd굽기에 사용할 mp3 파일을

하나의 폴더에 모아주세요


윈도우 10 버전 그 이외의 버전이

하는 방식에서 약간 차이가 있는데


http://sint2.tistory.com/282

(윈도우 10 cd굽기 포스팅 링크)


윈도우 10 사용자의 경우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고


http://sint2.tistory.com/25

(윈도우7 cd굽기 포스팅 링크)


윈도우 7 버전의 경우

위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Noto Sans KR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포토샵, 일러스트 등

국내에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제작사로 유명한 어도비와


유튜브에 붙는 광고 애드센스와

검색엔진으로 유명한 구글


이 두 회사에서 합작해서 만든

글꼴이 Nota Sans 입니다

폰트, 글씨체 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글꼴로 부르겠습니다



공동 제작을 했기 때문에

어도비와 구글에서 각각

배포를 진행하고 있는데


어도비에서는 본고딕 으로

배포를 하고 있으며


구글에서는 노토산스(Noto Sans)로

배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Noto Sans KR 의 의미>


Noto는 No Tofu의 줄임말로

Tofu는 두부를 말합니다


즉 직역하자면 두부없는

글꼴 이라는 이야기가 되겠죠


컴퓨터는 언어 데이터가 들어오면

해당 데이터를 글꼴에 맞춰서 표시합니다


그런데 만약 영어 데이터가 들어왔는데

영어 글꼴이 없는 경우


표시할 글꼴이 없기 때문에

ㅁㅁㅁㅁㅁㅁㅁㅁㅁ 이라고 표시되는데



이때 ㅁ 가 네모 반듯한 두부 같다고 하여

두부 라고 부릅니다


즉 글꼴이 없어서 ㅁㅁㅁ 표시되는 것이

없도록 하는 글꼴 이라는 의미죠


어도비와 구글은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글로벌 기업 입니다


각 나라별로 적절한 글꼴이 필요한데

저작권 문제로 인해서 모든 글꼴을

서비스 하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37 지역의 582개의 언어의 글꼴을

모두 제작하게 되었는데


그렇게 제작된 글꼴이 Noto Sans 이며 

그 중 한국어 글꼴이 Noto Sans KR 입니다

 

 

<Noto Sans KR 다운로드>


앞에서 글꼴에 저작권이 있다고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Noto Sans 의 경우

구글과 어도비에서 무료 배포하는 글꼴로


팜플렛을 만들거나

쇼핑몰 상세 페이지 등

상업적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만드는

어도비에서 합작을 해서 그런지

글꼴이 굉장히 깔끔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쇼핑몰 상세페이지,

사이트 홍보, 워터마크 등으로

많이 할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google.com/get/noto/

(Noto Sans 다운로드 링크)


다운로드는 구글에서 운영하는

Noto Sans 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세요


총 582개의 언어 버전이 있고

그것을 모두 받으려면 1GB 이상의

대용량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글꼴만 선택해서

받으시기 바랍니다


http://sint2.tistory.com/365

(관련 포스팅 링크)


Noto Sans 페이지에서

KR(한국어)를 찾아서 다운로드 하는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었죠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Noto Sans CJK KR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포토샵으로 유명한 어도비와

검색엔진으로 유명한 구글이

공동으로 만든 글꼴 입니다



글꼴은 컴퓨터에서

글자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글씨체, 폰트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글꼴로 통일하겠습니다


공동 제작한 글꼴인데

어도비에서는 본고딕 이라는 이름으로

배포를 진행하고 있으며


구글에서는 Noto Sans(노토산스) 로

배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JK 은 China(중국) J는 japan(일본)

K는 korea(한국) 통합한 폰트를 말하고


마지막의 KR은 설명과 다운로드를

한국어로 되어있다는 의미입니다

<Noto Sans CJK KR - 두부 없다!>


Noto 는 No Tofu 의 줄임말로

번역하자면 "두부 없다" 는 의미 입니다


글꼴 이야기 하다가

갑자기 두부가 튀어나와서

이상하다 생각하셨을 텐데


일어 게임을 실행했는데

컴퓨터에 일어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글자가 ㅁㅁㅁㅁㅁㅁ 로 출력 됩니다



이 ㅁ가 네모 반듯한 두부 같다고 해서

두부 라고 부르죠


어도비와 구글은 전세계를 상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기 때문에

나라별로 맞는 글꼴이 필요한데


해당 글꼴의 저작권 문제가 해결이 안되면

글꼴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두부로 표시가 되죠


아쉽게도 많은 사람들이

글꼴에 저작권이 있고

사용하려면 돈을 내야 한다는 것을 모르고


글자가 나오지 않는다

두부가 계속 나온다고 항의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237 지역의 582개 언어의

글꼴을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가 Noto Sans 입니다


구글에서는 이 글꼴을 만들고

"두부에 대한 대답은 노토산스 입니다!"

라고 당당하게 말했다고 하죠

 

 

<Noto Sans CJK KR 저작권과 다운로드>


저작권은 구글과 어도비에 있으나

완전히 무료로 제공되는 글꼴입니다


영리목적으로 사용하셔도

전혀 문제가 없으며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어도비와 합작해서 그런지

깔끔한 폰트입니다


그래서 인지 홈페이지 제작이나

쇼핑몰 상세페이지에

널리 사용되고 있죠



https://www.google.com/get/noto/

(Noto Sans 페이지 링크)


다운로드는 구글의

Noto Sans 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하셔서

접속해주세요


http://sint2.tistory.com/365

(Noto Sans 다운로드 링크)


수백개의 Noto Sans 버전 중에

CJK KR 버전 다운로드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뤘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다운로드를 하시면 됩니다

 노토산스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노토산스의 탄생 배경과

이름의 의미에 대한 것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이트를 알아봤었죠


노토산스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노토산스 다운로드의 나머지 과정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링크를 걸어드린 사이트에 접속해서


글 아래쪽을 보시면 붉은 박스에

Download all fonts 라는 글자가 있습니다

(다운로드 모든 글꼴)


다운로드 라는 글자 때문에

저것으로 받는 분이 있으신데


1부에서 말했듯이

노토산스는 237지역 582개의 언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폰트이기 때문에


모든 폰트를 다운로드 하면

용량이 1GB 가 넘어갑니다

<노토산스 - 원하는 폰트 찾기>


다운로드 바로 아래쪽을 보시면

검색창이 있는데


해당 검색창에 원하는 언어 폰트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한글로 글자를 입력하면

아래쪽에 한국어 아이콘이 뜹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주시면


노토산스 한국어 포인트인

Noto Sans CJK KR 이 검색됩니다


일본어 폰트가 필요하다면

일어로 검색을 하시거나


영어로 일본(japan)을 입력하시면

japanese(일본어) 아이콘이 뜹니다



폰트를 클릭해보시면

실제 글씨체가 표시되는데


같은 글씨체에 글자의 굵기가

제일 얇은것 부터 가장 두꺼운 것 까지

총 7가지가 제공됩니다


깔끔한 글씨체에 굵게 쓸 수 있어서

쇼핑몰에서 제품 광고용 글꼴로

굉장히 선호하죠

 

 

<노토산스 적용하기>


원하시는 폰트를 찾았다면

폰트 이름 아래쪽에 있는

DoOWNLOAD 를 클릭해주세요


ZIP로 압축된 파일을 받게 되는데

7가지 굵기의 폰트가 같이 들어가있습니다

편하신 폴더에 압축을 풀어주세요



작업표시줄 제일 왼쪽을 보시면

윈도우 마크(시작) 이 있죠


클릭하시면 위쪽에 검색창이 뜨는데

글꼴을 입력해주세요


윈도우 10의 경우

시작 아이콘 오른쪽에

돋보기 아이콘(검색)이 있습니다


돋보기 아이콘을 누르시고

마찬가지로 글꼴을 입력해주세요


위쪽 검색 결과창에

제어판 항목에 글꼴이 뜨면

클릭해서 글꼴 폴더를 열어주시고


압축을 풀어둔 글꼴 파일을

글꼴 폴더로 드래그&드롭 해주시면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